돌연한 황홀경
2016.04.12 ~ 2016.04.25
정희정

■ 전시개요

• 전시명 : SPACE22 OPEN CALL 당선작 전시 Ⅱ 정희정 개인전 - <돌연한 황홀경>
• 전시기간 : 2016. 4. 12(화) ~ 4. 25(월)
• 전시오프닝 : 4월 12일(화) 6~7:30pm
• OPEN CALL 당선작, 작가와의 만남 : <정희정+조현택> 4월 20일(수) 4pm~
• 전시장소 : 사진‧미술 대안공간 SPACE22
• 관람시간 : 월~토 11:00~19:00 | 공휴일 휴관
• 전시자료 및 문의 : SPACE22 T.02-3469-0822

■ 전시 기획의도

독창적이고 실험적인 작업을 하는 작가들의 전시공간을 지원하고자 기획한 <SPACE22 포트폴리오 OPEN CALL 2016 >공모전에 ‘정희정’, ‘조현택’ 두 작가가 선정되어 3월과 4월에 각각 개인전을 열게 되었습니다. 조현택의 <빈 방>展에 이서, 두 번째 전시로 정희정 작가의 <돌연한 황홀경>展을 개최합니다. 정희정은 회화를 전공한 후 사진과 드로잉, 회화, 영상 등 다양한 미디어를 가로 지르며 탄탄한 작업 세계를 선보이고 있습니다. 이번 전시에서는 풍경을 바라보는 독특한 시점을 보여줍니다. 본다는 것은 무엇인지, 또한 우리의 기억은 어디에서 태어나서 어디로 사라지는 지, 사진과 회화, 영상설치 작업을 통해 흥미롭게 제시합니다.

전시 특별 프로그램으로, 'OPEN CALL 2016'에 선정된 정희정, 조현택 두 작가와의 만남을 4월 20일(수, 오후 4시부터~ SPACE22)에 마련했습니다. 두 작가의 생생한 작업 세계를 엿볼 수 있는 기회이니 많은 관심과 참여를 부탁드립니다.


■ 작가노트
 
<돌연한 황홀경> 작가노트

“꿈 속에서 나는 홀로 <대동여지도>를 그려야 하는 임무를 수행해야 했다. 풍경을 한 눈에 조망할 수 있을만한 가장 높은 산을 찾아 힘겹게 올라갔다. 정상에 오르니 그것은 높은 빌딩의 난간이었다. 조금만 발을 헛디디면 수십 킬로미터를 떨어질 만큼 끝이 안 보였고 그 곳에서 본 풍경은 아무것도 없는 지평선이 전부였다.”

풍경을 본다는 것은 무엇일까?
사람의 눈은 이 세상을 그저 아무것도 아닌 것으로 보려 하지 않는다. 사물에 대한 의인적 체험을 통해 자기를 비추려 한다. 우리는 사람이 살지 않은 극지방에서 일어나는 산사태를 ‘자연재해’라고 부르지 않는다. 인적이 없는 깊은 산 속에서 느끼던 야생에 대한 두려움은 불현듯 나타난 벤치로 산 전체가 ‘디자인 된’ 공원이 되면서 안도감으로 바뀐다. 우리는 세상을 ‘틀’을 가지고 본다. 구조주의적 관점으로 말하면, 인간은 세계를 있는 그대로 보지 않고 우리의 언어를 통해 보는 것이다. 그러므로 풍경은 자기를 비추는 거울이라고도 할 수 있다. 풍경은 몸으로만 체험하는 것이 아니라 마음으로 보는 것이다. 

지금 여기, 내게 비친 거울 속 풍경은 프로크루스테스(Procrustes)의 침대처럼 보인다. 지나가는 나그네를 잡아다 침대의 규격에 맞게 다리를 늘렸다가, 길면 잘라냈다는 신화 속 이야기처럼 이상하게 부자연스럽고 절단된 풍경이다. 언제부터인지 안팎이 똑같고, 전국이 똑같은 거대한 복제 공간에 사는 우리는 신화 속 침대에 누운 나그네처럼 서서히 ‘절단된’ 신체가 되어간다.
 
나는 절단된 몸을 이끌고 흩어진 조각을 찾아 힘겹게 길을 나선다. 걷고 또 걷는다. 꿈속에서처럼 조망을 위해 정상에 오르는 것이 아니라 내가 서 있는 좌표를 가늠하기 위해 조금씩 멀리 돌아갔다 다시 제자리로 돌아오길 반복한다. 같은 장소를 반복하여 걷는 동안 놀랍게도 신체의 절단면이 재생하기 시작한다. 플라나리아처럼 재생된 절단면은 기꺼이 풍경과 접촉하길 서슴지 않는다. 더 가까이, 더 깊숙하게, 이전까지는 없었던 새로운 냄새와 색깔들이 내 몸을 자극한다. 이곳은 대체 어디였던가. 같은 장소를 빙빙 돌며 찾은 것은 언제나 거기 있었지만 내가 보지 못하고 지나친 것들이었다. 그것은 이 땅에 ‘개발과 저개발’이라는 이분법으로는 보이지 않던 수많은 유동하는 몸들이었다. 그것은 푸른 저녁 어스름이었고, 비릿한 구름 사이로 비친 수정궁이었으며, 비에 젖은 싸이렌 소리였고, 달빛에 붙잡힌 고양이의 그림자였다. 마주친 풍경들을 거울에 비추고 종이에 붙여 꿰매면서 한가지 의문이 들기 시작하였다.

찾아 헤매던 파편 조각이 정말 절단되었다고 생각한 내 몸의 일부일까? 혹시 잃어버렸다고 생각한 ‘고향’은 처음부터 존재하지 않았던 것은 아닐까? 산란하게 시야에 들어오는 이 풍경은 대체 누구의 기억일까.    
   
풍경을 기억한다는 것은 인간의 얼굴을 기억하는 것과는 다르다는 생각이 든다. 마치 내 눈으로는 볼 수 없는 피부의 안쪽을 바라보는 것처럼, 분명히 그 곳에 존재하지만 결코 볼 수 없는 ‘사물 자체’인 것처럼.

풍경(風景)이란 말 속엔 관계를 포함한다. 바람이 사물을 빌어 그 존재를 드러내는 이치이다. 쉼 없이 걷는 동안 마주한 장소들을 빌어, 풍경이란 조망이 아니라 행동이자 동사로, 닫힌 창이 아니라 열린 문으로서 끊임없이 변하는 “장소되기”임을 이야기 해 보고자 한다.


■ 작가약력

정희정
 
학력
2008 홍익국제디자인전문대학원 IDAS 디지털미디어디자인 전공 석사 졸업
2000 계원조형예술대학 멀티미디어 과정 수료
1998 전주대학교 미술학과 학사 졸업
 
개인전
2013  <청산별곡> [예.술.도.가,-藝.術.都.家.] 프로젝트 공모 시각부분 당선자展
       평촌아트홀, 안양
2013  <밤과 낮>  [관훈갤러리 공모전] ARTIST OPEN CALL 선정작가 개인전, 관훈갤러리, 서울
 
그룹전외프로젝트
2015  <시간수집자 Time Collector> 2015 생생화화: 경기문화재단 전문예술 창작지원사업展, 경기도 미술관, 안산
2015  <安養 기억의 공간>전, 김중업 박물관 문화누리관, 안양
2014  <풍경산책> 그룹 16시 - '예술과 안방 사이' 프로젝트, APAP 오픈 하우스, 안양
2010  <Intermedia performance & collaboration> 멀티미디어 퍼포먼스 프로젝트, 상명대, 서울
2007  <청취의 기술> 사운드아트 프로젝트,인사미술공간, 서울
2006  <Unreal and Real> 홍익국제미디어디자인대학IDAS 그룹전, 리움 미술관, 서울
2004  <Subway> .인터랙티브 웹아트 부문,국제서울영화제 Seoul Net & Film Festival ,서울
2003  <my room> 인디비디오 실험 영화제 미디어라운지 부문. 웹아트,서울  
2003   <my room> interactive web art “JIFF MIND 2003” 전주국제영화제 ,전주
2002   <비주얼 실험변수> 제2회 인디비디오 필름페스티발 <A fish globe> 비디오 영상,
          일주아트하우스 아트큐브 ,서울,
2001   <블라인드사운드> 프로젝트, 디지털아트, 대안공간 루프, 서울
1999  "행복한 푸른" Happy and Blue 전, 대안공간 풀 , 서울
1999  “BMongSaMong (“dream of beauty / dream of death”) 그룹 멀티미디어 퍼포먼스,
이천공장미술제, 이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