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間)텍스트>
2014.05.01 ~ 2014.05.21
고정남, Area Park, 임수식, 박승훈

 

1. 전시개요

 

전시타이틀 : <간(間)텍스트>

전시참여작가 : 고정남, Area Park, 임수식, 박승훈

전시기간 : 2014년 5월 1일(목) ~ 5월 21일(수)

전시오프닝 : 5월 2일(금) 6~8pm

작가와의 만남 : 5월17일(토) 4~6pm

전시장소 : SPACE22 | www.space22.co.kr

전시기획 : 최연하

 

 

2. 전시기획의 글

 

<간(間)텍스트>는 조형예술 텍스트와 문학텍스트와의 상호연관성을 살펴보고자 기획한 전시이다. 흔히 여러

텍스트와 텍스트들 사이에서 파생되는 의미들을 간텍스트(Intertext)라고 정의하는데, 여기에서 텍스트는 문학

텍스트 뿐 아니라, 롤랑바르트 이후 소위 후기구조주의자들이 사유한 기호의 그물망을 통해 의미를 길어 올리는

모든 기호의 시스템, 즉 언어, 그림, 광고, 사진, 도표 등을 포함한다. 간텍스트성(상호텍스트성, Intertextuality)

이란 용어는 줄리아 크리스테바에 의해 제안된 것이다. 기존의 언어학이 언표대상의 재현에 치중했다면, 간텍스

트는 열린 텍스트로, 무한히 생산 가능한 의미들의 내재된 평면에 비유할 수 있다.

 

텍스트의 의미는 하나로 고정된 것이 아니고 그것을 보고, 읽는 독자(관객)에 따라 의미들의 무한변주가 가능하

다. 특히 삼차원의 공간을 이차원의 평면으로 옮겨 온 사진이미지의 경우 도상과 상징의 차원에서 무엇을 어떻게

재현했는지를 따지며 의미를 파악할 수도 있겠지만, 인덱스차원으로 들어가면 좀 더 존재론적으로 접근할 수밖에

없다. Area Park의 여행하는 책의 모습이나, 고정남의 오래된 책의 실재, 책들이 거주하는 집을 촬영한 임수식의

작품에서 책-존재를 마주하게 된다. Area Park, 고정남, 임수식이 이미 출판된 책을 다시 촬영하거나, 책들이 진

열된 서재를 촬영하였다면 박승훈은 텍스트의 어원인 textus(직물)를 좇아 실재들이 기록되는 필름들을 ‘엮어

서’ 새로운 변형들을 제시한다. 이처럼 <간(間)텍스트>전시는 간텍스트성의 접근에서 다시 찍기(쓰기)와 사진

속에 실재하는 책(장)의 형태를 다시 보기(읽기), 텍스트들의 교차 및 재인용 등을 통해 한 장의 사진 속에서 파

생되는 새로운 시니피앙들의 무한한 생성에 기대고 있다.

 

이 전시의 기획자는 고정남 사진, <진달래꽃>을 읊으며 노래하며 본다. 자꾸만 읽히는 임수식의 <책가도157>

는 한 땀 한 땀의 미끈하면서도 지루한 촉감을 따라 사진을 보게 된다. Area Park의 사진은 어떠한가. 존 버거의

사진을 향한 아포리아가 버려진 화분 속 야생의 생명력처럼 싱그럽기 그지없다. 박승훈의 사진, 피렌체에 있는 <

단테의 집>은 과연 단테가 쌓아올린 언어의 성벽처럼 단단하지만, 알리기에리 단테가 연모하였던 베아트리체가

금방이라도 '신생 Vita Nouva' 할 것처럼 부드럽기도 하다.

 

롤랑바르트에게 텍스트는 총체적이고 단일한 의미의 고정이 아니라, 저자가 사라진 자리에 새롭게 생성되는 어떠

한 의미로도 환원될 수 없는 시니피앙들의 생생한 유희였다. 그러니 완벽한 소통이 추구하는 목적론적이고 결정

론적, 역사적인 수렴의 과정은 파편화되고, 로고스중심으로 묶여있었던 작품이라는 개념은 희미해질 수밖에 없을

것이다. <간(間)텍스트>전시는 사진 안에서 사진과 투쟁하고, 사진의 새로움을 모색해 온 네 명의 작가들의 작

업을 통해 현대사진의 표상에서 ‘재현할 수 없는 것의 재현’이 이루어진다면 어떠한 경로들을 통해 가능할지, 사

유해보고자 한다. 텍스트와 텍스트사이들을 가볍게 오고가는 흔들림과 낯섦, 그리하여 계속 ‘발생’하는 즐거움들

이 ‘쓰여 지지 않은 것을 읽어’(베냐민)내려는 독자들에게 예측불허의 달콤 씁쓸한 경험으로 찾아올 것이다.

 

3. 작가약력

  고정남 (Ko, jungnam)

1992 전남대학교 예술대학 미술학과 졸업

1999~2002 도쿄종합사진전문학교 사진예술제1학과 졸업

2002~2004 도쿄공예대학교 대학원 미디어아트(사진)전공 졸업

개인전

2013 Changing Opinion, 호기심에 대한 책임감_Seoul

2012 동경이야기_Super Normal, Gallery Beansseoul _Seoul

2011 건축적 풍경, Gallery Bresson_Seoul

         사각형의 내부의 사각형의 내부의, 김영섭 사진화랑, 서울

2009 ‘09진달래, Gallery Bresson_Seoul Korea

2008 unlimited, 김영섭 사진화랑_Seoul

2007 ‘07진달래, Gallery 호기심에 대한 책임감_Seoul

2005 겨울방학_여행에서 만난 풍경, 김영섭 사진화랑_Seoul

2004 안도타다오의, 콘크리트의, Gallery 목금토_Seoul

2003 여름방학_여행에서 만난 풍경, Gallery Bar FERRARA_Seoul

         안도타다오의 YUMEBUTAI, Gallery CREADLE_Yokohama

2002 집, 동경이야기, Gallery Lux_Seoul

주요 그룹 및 기획전시

2013 금지된 정원, 가일미술관_Gyeonggido, Berlin, Estonia

2012 공·터 프로젝트, 옛 연초제조창 내 특별전시장_Cheongju

         평화박물관_10월유신展_space99 gallery_Seoul

         제5회 양평환경미술제, 양평군립미술관_ Gyeonggi

         실락원(Paradise Lost), 고은사진미술관_Pusan

         한,러,일_일본니가타국제교류展_Niigata, Japan

         평화박물관기금마련展_space99 gallery_Seoul

2011 겸재 오늘에 되살리기, 겸재정선기념관_Seoul

         국민국가의 안팎, 화인갤러리_Pusan

         Social Photography,gallery illum_Seoul

         이상(李箱)의 집 _Seoul

2010 다큐멘트_사진+아카이브展 _치악예술관_Wonju

         분단미술_눈 위에 핀 꽃, 대전시립미술관_Daejeon

         일민시각총서_격물치지, 일민미술관_Seoul

         2009 '1990년대 이후의 새로운 정치미술, 경기도미술관_Gyeonggido

        일민시각총서_청소년, 일민미술관_Seoul

2008 나의 유학시절, Gallery 호기심에 대한 책임감_Seoul

         그 외 다수

출판

사진집“4”출판_월간 photonet 출판사, 2007

사진집“3”출판_LOVE출판사, 2012

작품소장

겸재정선기념관, 평화박물관, 동아일보사, 일민문화재단

 

 

 

박진영(Area Park)

경일대학교 사진영상학과 졸업, 중앙대학교 대학원 사진학과 중퇴

현재 일본 도쿄에 거주. 일본과 한국을 오가며 사진작업.

개인전

2013 방랑기 1989-2013 _고은사진미술관,부산

2012 사진의 길 -미야기현에서 앨범을 줍다. _에르메스 아틀리에, 서울

2011 ‘ひだまり’ _토요타 아트스페이스, 부산

2008 ‘ひだまり’ _갤러리 S 서울, 한국

2006 'The Game -분단풍경 다시보기' _금호미술관, 서울

2005 ‘Boys in the City’ _금호미술관, 서울

2004 ‘서울..간격의 사회’ _조흥갤러리, 서울

주요 그룹전 및 기획전시

2005 <夢遊都園>展 쌈지갤러리 서울

        <Picturing Korean Vision & Visuality>展 이영미술관 경기도

        <17 by 17>展 토탈미술관 서울

        <2005..청계천을 거닐다>展 서울 시립미술관 서울

        <새로운 시선>展 라이트가든갤러리 오사카 일본

        <Fast Forward>展 레인반하우스 사진박물관 프랑크푸르트 독일

       <오늘의 인권>展 조흥갤러리 서울

       <PARK>展 서울올림픽 미술관 서울

2006 <방아쇠를 당겨라>展 스페이스 비비 대전

        <얼굴의 시간, 시간의 얼굴>展 스페이스 휴 서울

        <Art beyond Life>展 포스코 미술관 서울

        <프로젝트 아이>展 아트센터 나비 서울

        대구사진비엔날레 주제전 <다큐로 본 아시아>展 Exco 대구

        <사춘기 징후>展 로댕갤러리(현 플라토) 서울

2007 <Fast Break : Recent Works from Seoul>展 PKM 갤러리북경 중국

        <한국 현대사진 스펙트럼>展 트렁크갤러리 서울

        <현대 한국사진의 풍경>展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견고한 장면>展 아트비트 갤러리 서울

        <경남 국제아트페스티발> 주제전 경남도립미술관 마산

        <Trans Pop>展 아르코미술관 서울

2008 The Big & Hip _ Korean Photography Now 노화랑 서울

         Korea Vietnam - Remix展 Galerie Quynh 베트남

        <Trans Pop>展 YBCA 캘리포니아 미국

        러시아 포토페스티발 생테페테르부르크 뮤지움, 러시아

        한국현대사진60년 1948-2008展 국립현대미술관

        광주비엔날레 주제전 <연례보고>展, 광주 비엔날레관

2009 ‘Chaotic harmony' 휴스턴 현대미술관 휴스턴, 미국

        ‘Chaotic harmony’ 산타바바라 뮤지엄 LA, 미국

2010 ‘한국현대사진의 조망’ 국립대만미술관 타이중, 타이완

         ‘시선의 반격’ 라파트먼트 22, 모로코

         ‘2010 아를 사진축제’ 아를, 프랑스

2012 'The mechanical cocoon' Arti et Amicitiae 암스텔담, 네덜란드

         대구사진비엔날레 특별전 <도시의 비밀> 대구예술발전소, 대구

         <Contemporary Korean Photography> Tel-Aviv, 이스라엘

         <서울에서 살으렵니다> 한미사진미술관 서울, 한국

         <미술에 말 걸기> 경기도미술관, 경기도

2013 ‘Area Park - 土田 祐介’ 2인전 Coexist Tokyo Gallery, 일본

         <Tele - Be> 갤러리현대 서울, 한국

        <사진과 사회> 대전시립미술관 대전, 한국

작품소장

고은사진미술관(2011), 경기도미술관(2009), UBS 컬렉션(2007), 서울시립미술관(2007), 국립현대미술관 미술은행(2007), 에르메스 코리아(2006), 금호미술관(2006), 국립현대미술관 미술은행(2005), 이영미술관(2005), 서울올림픽미술관(2005), 동강사진박물관(2004)

 

 

 

임수식 (LIM SOO SIK)

중앙대학교 사진학과, 동대학원 졸업

개인전

2014 책가도 _서울도서관, 서울

2013 책가도 _Gallery D, 홍천

         Chaekgado 책가도 _Galería Saro León, 스페인

         그림+X=? (X=책) _보름산미술관, 경기

        욕망의 기호학 _Space CAN Beijing, 중국

2010 책가도 冊架圖 _ 갤러리 진선, 서울

         바벨의 도서관-All and Nothing _ 북촌미술관, 서울

2009 Room.K. _SONO FACTORY, 서울

2008 책가도 冊架圖 _갤러리 온, 서울

2007 수필 隨筆 _대안공간 건희, 서울

주요 그룹전 및 기획전시

2013 인식의 구성 – 남수현,임수식 2인전 _킵스갤러리서울 포토그래피, 서울

          story-서유라,임수식 2인전 _리나갤러리, 서울

          고서화와의 조우 – 권인경,임수식 2인전 _에스플러스 갤러리, 부산

2012 예술가의 책 _신세계갤러리, 광주

         대구사진비엔날레 _대구예술발전소, 대구

         영파워 _아트원갤러리, 전주

         장인의 꿈과 열정 _세종문화회관 미술관, 서울

         fastbreak _gallery emil, 탐페레, 핀란드

         From Hangang To Chaopraya _The National Gallery, 태국

         Books and Life _표 갤러리 사우스, 서울

        책거리 특별전 _경기도박물관, 경기

        이것은 책이 아니다 _스페이스K_서울, 서울

2011 U.K.I.E:VER _AM Gallery, 브라이튼, 영국

         fiction & nonfiction _ interalia, 서울

         Sublimation _Space CAN, 서울

         Bridge _봄 갤러리, 서울

         Artists & Books _E-LAND Space, 서울

        신 책가도 _예송미술관, 서울

        데카메론 _Space CAN Beijing, 베이징, 중국

        project-P _국회의사당 본관, 서울

       목록의 재구성 _고은사진미술관, 부산

       열한개의 환상시 _닻미술관, 경기

2010 Convergence: Korean Prints Now _윌리엄 타워 갤러리, 휴스턴, 미국

        쉼, 갤러리 아트힐, 경기

        전통의 재구성; 반차도_ 북촌미술관, 서울

        봄, 靜, 爭 _써니 갤러리, 경기

        life is life _남송미술관, 경기

        Book to Book _갤러리 박영, 경기

        꽃보다그림 _봄 갤러리, 서울

작품소장

국립현대미술관 미술은행, 북촌미술관, 이랜드문화재단(서울), 라이너 쿤체(Rainer Kunze) 박물관(독일) 외 다수

 

 

박 승 훈 (Park Seung Hoon)

한양대 관광학과 졸업,

중앙대 대학원 순수사진전공 졸업

수상

2008 제 10회 사진비평상 (포토스페이스)

2009 ‘Photo Belt’ 1위 (판화사진진흥회)

2010 대구 사진 비엔날레 우수 포트폴리오 (대구 사진 비엔날레)

개인전

2013 ‘Travelog’, 표갤러리LA, LA

2013 ‘Travelog’ 표갤러리 본관, 서울

2013 박승훈 개인전, Visionair, 파리

2012 박승훈 개인전, 표갤러리 신관, 서울

2011 ‘Travelog’, 표갤러리LA, LA

2011 ‘Travelog’, 표갤러리사우스, 서울

2010 ‘TEXTUS’, 사라리 아트웍&프로젝트, 산타모니카

2010 ‘TEXTUS’, B’one 갤러리, 서울

2009 ‘TEXTUS’, Space355, 동경

2009 “사진 밸트” 개인전 UM갤러리, 서울

주요 그룹전 및 기획전시

2013 100 Photographers, Bibliotheque departementale, 마르세유

2013 Another Chain Bridge, 헝가리문화원, 부다페스트

2013 Love Actually 서울미술관, 서울

2012 홍콩 국제 사진 축제, 홍콩 아트 센터, 홍콩

2012 대구 사진 비엔날레, 대구 예술 발전소, 대구

2012 도시산책, 포항시립미술관, 포항

2012 사진의 확장성1, 정미소, 서울

2012 절차탁마, 인터알리아, 서울

2011 서울 사진 축제, 서울시립미술관 서소문본관, 서울

2011 한 아세안 현대 미디어 아트전, 금호미술관, 서울

2011 Three Photographers in wonderland, 표갤러리, 서울

2011 서울, 도시 탐색전, 서울시립미술관 서소문본관, 서울

2011 Studio Vortex 2, Galerie Montgrand, 마르세유

2010 Photo Off, La Bellevilloise, 파리

2010 New Photography in Korea, Galerie Paris-Beijing, 파리

2010 한국 현대 사진의 최전선, 대만 국립 현대 미술관, 타이슝

2010 세상의 모든 풍경, 장흥 아트 파크 미술관, 장흥

2010 Beyond the Lens, 신한은행 갤러리, 서울

2009 서울 국제 사진 페스티벌, Garden5, 서울

2009 파리포토, 루브르, 파리

2009 네 가지 방법전 Guardian Garden, 동경

2009 Atelier devisu Projection of Photographs, de visu 아뜰리에, 마르세유, 프랑스

        외 다수, 외 다수

 

레지던시 프로그램

2009 ALTELIER DE VISU, 프랑스 마르세유

2010 LITMUS, 안산

2011 난지 창작 스튜디오, 서울 시립미술관, 서울

2012 고양 미술 창작 스튜디오, 국립현대미술관, 고양

 

작품소장

국립현대미술관 미술은행, 한국 거래소, 귀뚜라미 문화재단, 사노피아벤티스 코리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