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획 의도
<아리랑 서울 Arirang Seoul>은 고정남 작가의 대표작 중에서 ‘아리랑’에 의해 촉발된 감각과 관심으로 이뤄진 상징적인 작품을 한데 모은 전시다. 고정남이 일본 유학을 마치고 서울에서 연 첫 번째 개인전 <집, 동경이야기>(2002)를 시작으로 <진달래>(2007), <호남선>(2017), <비비소소만경>(2018), <하이쿠:인천사이다치바>(2018), <수인선 水仁線, SuinRailroad)>(2019), <월미도 로망 쓰>(2020~2022)와 최근 전시 <통일로 진달래>(2024)까지, 20년 넘게 작가를 붙들었던 화두는 100년 전 일제강점기로부터 현재에 이르는 ‘아리랑’ 정서이다. ‘아리랑’이라는 관념과 추상은 고정남의 사진 작품에서 근대 예술인과 예술 작품 속 주인공의 초상 사진으로 부활한다. 그리고 미술작품과 문학 텍스트, 근대 건축물과 특별한 장소성으로 구체화 되며 일제강점기와 한국전쟁, 새마을 운동과 현재의 시공이 뒤섞여 작가의 내부에 깃들인 존재의 표현형식과 만난다. ‘상상력을 더해 기록적 가치를 높이기, 역사를 추체험하며 역사적인 장소를 재해석하기, 역사적 상징물을 재현하기, 사진적 상황을 스냅 촬영해 몽타주와 콜라주하기, 역사의 산물을 수집하기’ 는 고정남 특유의 스타일이다. 한국 현대 사진에서 역사 해석의 새로운 접근을 선보인 고정남 작가를 주목하는 이유일 것이다.
이번 전시 <아리랑 서울 Arirang Seoul> 에서는 우리나라 최초의 서양화가 고희동의 <부채를 든 자화상>, 김종태의 <노란 저고리>, 이쾌대의 <봉숭아>를 재해석한 작품 세 점이 나란히 걸린다. 일제강점기에 그려진 그림 속 모델들이 100년의 시공을 넘나들며 전시장에서 관객을 맞이하게 된다. 이 외에도 근대 소설의 주인공과 문학 작품의 초상, 통일로 진달래 시리즈를 선보인다. 8월 10일(토)에는 작가와의 만남을 전시장에서 진행한다. 고정남 작가의 <아리랑 서울> 전시와 함께 8.15의 의미를 새삼 확인하는 귀한 시간이 될 것이다. (기획 : 최연하)
⬛ 고정남 작가 노트
<아리랑 서울 Arirang Seoul>
예로부터 우리 민족을 백의민족(白衣民族)이라고 불렀다. 흰옷을 즐겨 입어서이다. 일제가 그렇게 불렀다는 말도 있다. 여기에서 흰색은 실재에 근거한 것이라기보다는 상징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야 한다. 즉 흰색은 순수를 상징하고, 흰옷은 순수한 민족정신을 상징한다. 일제강점기는 우리 민족 역사상 아픈 상처로 기억되고 있다. 유학 시절 도쿄에서 본 오래된 일본 가옥들은 놀랍게도 고향 장흥에서 보던 집의 모습과 같았다. 지금 우리나라에 남아 있는 적산가옥은 일제강점기 곡물을 수탈해 가던 일본이 남긴 유물이다. 역사는 오래도록 기억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이번 작업은 정해진 내러티브를 구성하지 않는 방식으로 역사를 말하고 싶었다. 예술로서 역사를 말하고자 하는 방식을 고민했다. 호남선과 수인선 철길을 지나는 기차처럼 일상이 계속되어 기념비를 세우는 것에 관심을 두었다. 긴장하는 욕망은 아름답게 꾸미려 하지 않아도 된다. 무심하게 내버려둔 것처럼 보이지만 나름 계산을 하여 구상했다. 사진으로 표현하는 낭만을 월미도 로망 쓰에서 절제된 형식으로 펼쳐보았다. 이번 전시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