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Academy
Academy
사유 거장들의 감각 및 예술이론 탐색
2025-04-03





SPACE 22. 2025년 늦은 봄학기 강의계획서

 

제목] 사유 거장들의 감각 및 예술 이론 탐색

일시] 매주 수요일 오후 3∼5(개강. 423/ 8)

장소] SPACE 22 강의실

강사] 조광제


강좌등록링크] https://forms.gle/42CYc5cpUhJHY1hq7

 

강좌 소개]

 

예술 작업을 하자면 반드시 나름의 관점이 필요하다. 그 관점은 정확할수록 그리고 깊을수록 오래 갈 것이다

사유의 거장들은 대체로 예술에서 사유의 결말에 대한 승부를 건다. 그때 개념을 넘어선 감각에 몰두한다

그들이 남긴 감각과 예술에 관한 이야기는 예술 작품에 기생할 수밖에 없지만 마침내 예술의 여러 분신이 된다

봄이 새롭게 무르익어 여름의 초입에 들어서는 이번 학기, 사유에 미친 인물들이 어떻게 감각과 예술의 문제를 풀어내기 위해 고투하는가를 살피고자 한다

많은 참여를 바란다.

 

 

강의 순서]

 

1. 뵐플린, 『미술사의 기초개념들』 : 르네상스와 바로크의 분기점

2. 니체, 『비극의 탄생』 : 예술 감각의 근원, 디오니소스의 도취

3. 칸딘스키, 『예술에서의 정신적인 것에 대하여』 : 예술적 감각 요소의 정신적인 울림

4. 오르테가, 『예술의 비인간화』 : 탈현실적인 예술 형식에 대한 새로운 감각

5. 하이데거, 『숲길예술작품의 근원」 : 존재와 예술의 동근원성

6. 메를로-퐁티, 『눈과 정신』 : 감각 덩어리에서 열리는 예술

7. 들뢰즈, 『감각의 논리』 : 신경을 직접 찌르는 예술 감각

8. 칸트, 『판단력 비판중 제1미감적 판단력 비판」 : 개념과 감정 너머의 존재 중립적인 미적 감각

 

강사 소개]

1) 학위: 서울대학교 철학과에서 현상학적 신체론: E. 후설에서 M. 메를로-퐁티에로의 길로 박사 학위.

2) 경력: ① 현재 ()철학아카데미 대표. 한국프랑스철학회 회장과 한국철학회 부회장 역임

미술 관련 강의;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조소과 대학원(4), 홍익대학교 미술대학원(6), 홍익대학교 미학과 대학원(1), 

국민대학교 예술대학원(1), 연세대학교 패션디자인학과 대학원(1)에서 미학, 미술 비평 이론, 회화론 등을 강의

()철학아카데미에서 미술, 영화, , 사진에 관한 철학적 강의. 《금호미술관》, 《토탈미술관》, 《대림미술관》, 《김종영미술관등에서 미술 강의

그 와중에 회화, 사진, 조각, 영화 등에 관한 비평 다수. 특히, 1998대림미술관주최 <국제세계사진전>의 도록에 비평(「몸과 사진의 변증법」), 

2007리윰미술관주최 <Andy Warhol Factory > 도록에 비평(「앤디 워홀, 사회적 광기를 좇고 쫓는 무당」), 

2013김종영미술관주최 조각전 <인간과 그리고 실존>의 도록에 비평(「인간 그리고 실존, 5인의 조각」)

3) 저서: 예술 관련 저서로는 미술 속 발기하는 사물』(안티쿠스), 『짧고 긴 서양 미술 탐사』(삼성출판사), 『회화의 눈, 존재의 눈』(이학사), 『인간을 넘어선 영화 예술』(동녘)이 있고

철학, 예술을 읽다』(동녘)를 기획하고 대표 집필했다. 철학에 관한 저서로는 불투명성의 현상학』(그린비), 『존재의 충만, 간극의 현존』(그린비), 『몸의 세계, 세계의 몸』(이학사), 

현대철학의 광장』(동녘), 『의식의 85가지 얼굴』(글항아리), 『주름진 작은 몸들로 된 몸』(철학과현실사), 『철학 라이더를 위한 개념어 사전』(생각정원) 등이 있다. 그 외 공저 다수